요로결석 진단 방법
특징적으로 급성 옆구리 통증과 혈뇨가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므로 젊은 환자에서 이들 증상이 있다면 쉽게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문진을 할 때 통증의 양상, 동반된 증상의 유무를 자세히 문진 하게 되는데 가족력, 유전질환경력, 대사성 질환, 재발성요로 감염증, 장질환, 장기간의 거동 불능 , 통풍, 약물복용여부, 식이습관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또한 이학적 검사에서는 늑골척추각 압통(옆구리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장기간의 요로폐색으로 신한 수신증이 있는 경우 복부종물로 촉진될 수도 있습니다. 그외 철저한 복부검사로 복부종양, 대동맥류, 임신, 추간판탈출증 등 다른 원인으로 인한 통증을 감별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옆구리 통증이나 하복부 통증이 있거나 혈뇨가 있는 환자에서 소변검사를 해보면 혈뇨가 동반되어 있으면 요로 결석을 가장 먼저 의심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다음 절차로 영상 검사를 하게 되고 아래의 검사를 이용해서 결석의 위치, 크기 등을 진단하게 됩니다.
01X-ray

결석은 말 그대로 돌처럼 단단한 조직으로 딱딱한 조직인 뼈처럼 X-ray사진을 찍으면 하얗게 보이게 되며, 소변이 흘러가는 요관이나 신장, 혹은 방광 부위에 하얗게 보이는 병변이 있으면 요로결석을 의심하게 됩니다.
좌측 사진에서 보면 3번째 요추부 척추뼈에 인접해서 보이는 하얗게 보이는 물질(화살표)이 요관 결석입니다.
좌측 사진에서 보면 3번째 요추부 척추뼈에 인접해서 보이는 하얗게 보이는 물질(화살표)이 요관 결석입니다.
02경정맥요로조영술

대부분의 결석이 X-ray 사진에서 하얗게 보이나 일부 결석은 그 밀도가 낮아(예: 요산석) X-ray 사진에서도 잘 안보이게 됩니다.
혹은 결석이 골반뼈나 척추뼈와 겹치는 부위에 있으면 뼈 때문에 결석이 잘 구분되지 않기도 하고 요관이나 신장, 혹은 방광이 있는 위치에 하얗게 보이는 물질이 있으나 요로계 결석인지 아니면 요로계 밖에 생긴 결석인지 모호할 때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특수물질(조영제)을 혈관으로 투여하면 이 조영제가 소변과 함께 배출되면서 요관이 지나는 길을 하얗게 보여주게 되고 이렇게 요관이 지나는 길에 흰 물질이 보이거나 조영제가 요관을 따라 밑으로 흐르지 못하고 막혀 있다면 결석을 의심하게 됩니다.
좌측 사진에서 보면 골반 안에 방광쪽으로 조영제가 흐르다 막힌 부위(화살표)에 하얗게 보이는 병변이 요관결석 입니다. 결석 때문에 소변이 요관을 타고 제대로 흐르지 못하여 결석이 있는 부위 위쪽의 요관은 늘어나 있는 소견을 볼 수 있습니다.
혹은 결석이 골반뼈나 척추뼈와 겹치는 부위에 있으면 뼈 때문에 결석이 잘 구분되지 않기도 하고 요관이나 신장, 혹은 방광이 있는 위치에 하얗게 보이는 물질이 있으나 요로계 결석인지 아니면 요로계 밖에 생긴 결석인지 모호할 때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특수물질(조영제)을 혈관으로 투여하면 이 조영제가 소변과 함께 배출되면서 요관이 지나는 길을 하얗게 보여주게 되고 이렇게 요관이 지나는 길에 흰 물질이 보이거나 조영제가 요관을 따라 밑으로 흐르지 못하고 막혀 있다면 결석을 의심하게 됩니다.
좌측 사진에서 보면 골반 안에 방광쪽으로 조영제가 흐르다 막힌 부위(화살표)에 하얗게 보이는 병변이 요관결석 입니다. 결석 때문에 소변이 요관을 타고 제대로 흐르지 못하여 결석이 있는 부위 위쪽의 요관은 늘어나 있는 소견을 볼 수 있습니다.
03초음파

대부분의 결석은 방사선 사진에서 하얗게 보이나 결석의 밀도가 조밀하지 못한 경우는 방사선 투과가 잘되어 X-ray 검사에서 잘 보이지 않습니다(예. 요산석). 이런 경우 방광이나 콩팥에 있는 결석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쉽게 확인이 가능한데 초음파 검사에서 좌측 초음파 사진에서 보듯이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초음파 검사는 결석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하지만 X-ray에서 하얗게 보이는 병변이 실제 요로계통에 있는 병변인지 아니면 요로계 밖에 존재하는 석회화 병변인지 감별을 하거나 결석과 동반된 종양같은 동반 질환의 유무를 검사할 때도 같이 시행할 수가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결석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하지만 X-ray에서 하얗게 보이는 병변이 실제 요로계통에 있는 병변인지 아니면 요로계 밖에 존재하는 석회화 병변인지 감별을 하거나 결석과 동반된 종양같은 동반 질환의 유무를 검사할 때도 같이 시행할 수가 있습니다.
04CT

CT 검사는 여러 질환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고 병이 있을때 그 병변을 찾아주는 민감도가 초음파나 요로조영술보다 높습니다.
결석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초음파나 X-ray에서 잘 안보이는 위치에 있는 결석(주로 골반뼈와 겹치는 중부요관에 위치한 결석)이거나 결석 크기가 작을 때는 CT를 찍어야 정확하게 결석유무를 진단 내릴 수가 있습니다.
조영제를 주지 않고도 결석 진단에 민감도가 높고 검사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요사이는 응급실에서 결석 진단을 위해 결석 CT 라는 검사를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간혹 결석이 커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때 결석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CT를 찍기도 하고 결석 이외의 기타 질환 동반 유무를 확인하고자 할때도 CT를 찍게 됩니다.
좌측 사진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하얗게 보이는 병변이 중부 요관에 있는 결석입니다.
결석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초음파나 X-ray에서 잘 안보이는 위치에 있는 결석(주로 골반뼈와 겹치는 중부요관에 위치한 결석)이거나 결석 크기가 작을 때는 CT를 찍어야 정확하게 결석유무를 진단 내릴 수가 있습니다.
조영제를 주지 않고도 결석 진단에 민감도가 높고 검사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요사이는 응급실에서 결석 진단을 위해 결석 CT 라는 검사를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간혹 결석이 커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때 결석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CT를 찍기도 하고 결석 이외의 기타 질환 동반 유무를 확인하고자 할때도 CT를 찍게 됩니다.
좌측 사진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하얗게 보이는 병변이 중부 요관에 있는 결석입니다.